2019. 5. 6.

서울은 왜 못생겼는가

[그 이유는 거기에 사는 사람들의 마음이 못생겼기 때문이다]

서울은 못생겼다. 이 도시의 민낯은 너무나 못생겨서 과연 규모 면에서 세계 상위권 도시 중 하나가 맞나 싶다. 그런데 서울은 지형적으로 멋지지 않기가 어려운 위치에 있다.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은 파리의 센 강 등, 여느 대도시의 강보다 거의 두배는 더 넓고 그 중심부에는 남산이 솟아있어 도시의 공간감을 풍부하게 만들어준다. 자연은 서울에게 멋진 토대를 선사했는데 도시의 모습은 못생겼으니 그 이유는 분명 인간에게 있다.
 
 서울이 못생긴 이유는 자명하다. 다음의 두 스카이라인을 비교해보자. 확연하게 A가 낫고 B가 못났다는 인상을 줄 것이다.(만약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당신의 미적 감각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인간은 획일적으로 통일된 스카이라인보다 들쭉날쭉해서 역동감을 주는 선을 더 선호한다. 문제는 무엇이 서울의 스카이라인을 A가 아닌 B에 가깝게 만드냐는 것이다.

흔히 서울의 건축을 두고 "성냥갑 아파트", "하늘이 안보여 답답하다"고 한다. 그래서 공무원들과 환경단체들은 무분별한 고층 빌딩과 난개발이 도시경관을 해친다고 주장하지만 헛소리다. 혹시 맨하탄의 타임스퀘어나 홍콩의 센트럴 지역을 거닐어 본 적이 있는가. 그 공무원 나으리들과 고귀하신 환경단체 횐님들께서도 서울보다 훨씬 촘촘한 홍콩과 뉴욕의 스카이라인을 보며 백만불짜리 야경이라며 호들갑을 떨었을 것이다. 도시가 가진 미학과 자연이 주는 아름다움은 아주 다르다. 그런데 인구 천만의 메트로폴리탄인 서울이 아름답지 않은 이유를 자연과 비교해서 찾는 것은 엔초비 파스타를 먹으며 얼큰한 맛이 부족하다고 투덜대는 촌뜨기들의 불평이다. 서울의 추함은 무분별한 개발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반대다. 서울의 도시계획은 너무나 강압적이고 개발을 지나치게 통제한다. 서울시 건축의 다수를 차지하는 아파트를 놓고 보자. 대부분의 신축단지는 용적률 300%에 35층 이하의 규제를 받는다. 이 규제를 만족시키면서 사업성을 갖추려면 결국 모든 동을 똑같은 모양의 35층으로 지을 수밖에 없다. 88대로를 따라 성냥갑 아파트들을 늘어놓은 비결은 바로 여기에 있다.

혹자는 스카이라인은 규제때문이라 쳐도 획일적인 구조와 건축양식이 못생김의 핵심이라고 지적할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규제때문이다. 서울시 도시미관의 개선은 대부분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이뤄진다. 전쟁 직후 공구리에 대충 시멘트 부어 만든 집들을 부수고 1인당 GDP 3만불의 눈높이에 맞는 집들을 만드니까. 그런데 정부는 여기에 앞서 말한 규제 외에도 온갖 제한을 걸어 재건축을 막는다. 재건축을 하려면 먼저 서울시에 임대아파트로 새 집들을 무상으로 기부해야하고, 그 뒤에 분양되는 새 아파트는 분양가를 제한해 싸게 팔아야하며, 건설사가 비용을 분담하겠다고 조합원들에게 혜택을 주면 수주과열이라며 막는다. 은행에서 이주비를 빌려주는 것도 제한한다. 그래도 돈이 남으면 초과이익이라며 환수한다. 그래도 재건축 하겠다고 해도, 젠장, 인허가를 내주지 않는다. 이 모든게 실제로 서울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재건축 조합의 이익을 빨아가놓고는 남은 돈으로 도시 미관을 개선할 멋진 집을 지으라 한다. 하지만 디자인에는 돈이 든다. 순전히 서울시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지타산이 맞지도 않는 외관 디자인에 수십억을 퍼부을 사람은 없다. 당신과 나와 그리고 재건축 조합을 포함한 우리 모두는 딱 그만큼 이기적이고 또 계산적이다. 현 재개발/재건축 규제는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시민들이 성냥갑 아파트만 짓도록 강제한다.

이 멍청한 규제의 꽃은 한강변 층고규제이다. 현재 서울시 도시계획에 따르면 한강 인접 아파트는 최고 층수를 15층으로 하고 있다. 이유는 한강 조망권을 더 많은 서울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하지만 한강이 보이는 세대수를 늘리려면 반대로 한강에 고층을 지어야한다. 한강변에 45층짜리 아파트를 지으면 모든 층이 한강을 볼 수 있지만, 15층 뒤에 30층, 또 그뒤에 45층 이렇게 계단식으로 짓는다고 해서 한강이 보이는 집의 수가 늘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줄어든다.(아래 그림 참조) 하지만 서울시는 오늘도 한강조망권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눠야 한다는 입바른 말을 하면서 멍청하게도 한강뷰 아파트의 수를 줄여, 더 소수의 사람들이 이 전망을독점할수 있게 해주고 있다.



건물 외벽에 하늘색으로 표시된 세대가 한강을 볼 수 있는 세대.
이처럼 강변에 저층을 지으면 한강을 볼 수 있는 세대수는 줄어든다.

그럼 왜 이런 규제가 존재하는가? 뭐 시민들이 그렇게 요구해서 그렇지. 그렇다면 시민은 왜 이런 규제를 요구하는가? 바로 시기심 때문이다. 한남 3구역 주민들은 강건너 반포 주민들이 재건축을 한다면 샘을 낸다, 또 청파동 주민들은 한남 재개발이 지연된다는 소식을 들으며 입꼬리를 씰룩 올린다. 눈치빠른 정치인들은 사람들의 그런 심리를 읽고 온갖 말도안되는 건축 규제들을 쏟아놓는다. 다른 도시에서는 낡아서 흉물이 된 건축물을 두고 보조금을 주면서까지 개발을 독려하는데 서울에서는 입주민들이 수천억을 모아 내서 멋진 건물로 다시 짓겠다는데 정부가 앞장서서 막는다, 동료 시민들이 막는다. 이렇게 서로가 서로의 멱살을 잡고 내가 못살지언정, 네가 잘사는 꼴은 못 보겠다는 태도가 오늘의 건축 규제를 만들었다. 그 결과 서울 시민들은 소득수준과 아주 괴리된 주거환경에서 살게 되었다, 심미적 측면 뿐 아니라 기능적 측면까지도. 오늘 밤에도 서울에선 해가 지면 벤츠를 끌고다니는 박 모 변호사가 소달구지 몰던 시절에 지은 40년 된 재건축 아파트로 돌아가고 신나게 유럽여행을 다녀온 대학생 김모씨는 택시조차도 거부하는 후암동 언덕길을 캐리어를 질질 끌고 올라간다.

오늘도 사람들은 콘크리트 더미들을 오가며 이 도시의 건축가들과 건축주를 비난한다. 하지만 동시에 못생긴 건물을 만드는 제도를 박수치며 반긴다. 도시는 하나의 유기체와 같아서 하나가 전체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게 아니니, 서울이 하나의 괴물이라면 그 시민들 하나하나는 그 괴물을 구성하는 세포들이다. 이제까지 얼마나 많은 랜드마크와 도시계획들이 시민단체와 지자체의 얼토당토 않은 요구에 좌초했는가. 서울시 최초의 랜드마크로 63빌딩이 들어선 것이 1985년인데 그 이후 두번째 랜드마크로 롯데타워가 들어서는데 무려 30여년이 걸렸고, 세번째 랜드마크가 될 GBC는 4년째 승인조차 나지 않고 있다. 또 지난 달 서울시 건축위원회는 반포의 한 재건축 아파트가 제출한 설계안을 보고 스카이브릿지가 위압감을 준다는 이유로 통과시키지 않았다. 서울시의 건축이 못생긴 이유는 순전히 정치 때문이며 그 정치는 시민들이 낳았다. 서울이 누구를 닮아 못생겼느냐는 물음에 대한 답은 창 밖이나 공무원들의 서류철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가 마주하는 거울 속에 있다.

스카이브릿지가 "위압적"이어서 반려된 신반포 15차 재건축 아파트의 기존 투시도.

댓글 3개:

  1. 그런 심미적으로 처참한 수준인 서울을 바꿔보겠다고 팔걷어붙인 오세훈시장의 디자인서울을 전적으로 지지했었는데 세금낭비니 뭐니하며 대차게 까인게 아쉬울따름입니다.그렇게 '콘크리트'오세훈을 까며 금싸라기 노들섬에 되도않는 텃밭 깔아놓은 박원순의 악행을 여읔시 콘크리트보다 똥네가득한 흙내음이 최고지 하면서 원순씨의 '창의시정'을 열심히 빨아대는 그들은 지금쯤 한강르네상스로 세련되게 변한 한강둔치에서 맥주에 치킨 열심히 뜯으면서 둥둥섬앞에서 야경사진 열심히 찍고있겠죠

    답글삭제
  2. 저 개인적으로는 지금과 같은 35층 규제에 동의하지 않습니다만, 35층 규제가 의도하는 조망권은 상상하시는 것과 정반대의 개념입니다. 아파트에서 한강을 많이 보게 하겠다가 아니라, 한강변에서 아파트 너머 경관을 많이 보게 하겠다는 것이죠. 그에 따르면, 설령 단지 단위에서는 낮은 건폐율로 이른바 바람길 구성을 하더라도, 그 뒤로 다른 단지들이 들어서면 결국 한강변에서는 아파트로 된 벽밖에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홍콩이나 상하이의 스카이라인이 멋지다고 하는 것은 도시 바깥에서 도시를 바라보거나 초고층에 올라 감상할 때인데, 정작 도시 안에서는 사방의 건물에 막혀 도시 바깥이 안 보이지 않냐는 것입니다. (이에 관해서는 '누구를 위한 높이인가'를 참조.)
    이것은 취향의 문제일 수도 있는데, 주택가 고도제한이 사실상 없었던 세종시에서 대량의 고층 성냥갑(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형태로 수렴한)이 자연 경관을 차단한 데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매우 많은 것을 보면, 모든 사람들이 고층건물만으로 이루어진 풍경을 선호한다고 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35층 규제를 푸는 것은 단순히 한강이 보이는 세대수를 늘릴 수 있다고 해서 쉽게 가능한 것은 아니고 사회적 합의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습니다.
    서울의 스카이라인이 지루한 것은 성냥갑을 사실상 강제하는 정책적 경제성 문제가 크지만, 그 외의 원인으로는 고도제한보다 박원순에 원인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박원순은 현 정부와 함께 일시적으로 집값을 누를 수 있는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집값을 급등시킬 것이 뻔히 보이는) 정책을 일관되게 선호했지만, 그 외에도 박원순 개인이 낡은 옛것에 대한 강한 향수와 집착을 가졌던 것을 부정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재건축에 이해하기 어려운 보존 요구를 붙이는가 하면, 새롭고 창의적인 아파트 디자인에 대해서는 갖가지 핑계를 들어 보수적인 모습으로 바꿀 것을 요구했습니다. 특히 후자는 최대한 랜드마크를 억제하고 반려함으로써 지루한 스카이라인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차라리 그 반대로 성냥갑을 금지하고 오히려 랜드마크 디자인을 요구했더라면 어땠을까요.
    재건축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규제와 미관을 억압하는 사실상의 규제가 그대로여서는 설령 35층 규제를 완화하더라도 (아마도 더욱 가혹한 각종 분담을 부과하면서) 단지 더 높은 지루한 건물을 부를 공산이 커보입니다. 사회적 합의가 바람직할 수도 있는 35층 규제보다는, 다른 재건축 억제책의 완화가 보다 시급해 보입니다.

    답글삭제
    답글
    1. 동의합니다. 건설비에 들어가야할 자금을 여러 규제로 환수하거나 막아놓으니 디자인과 설계에 쓰일 자본이 부족한거겠죠. 그리고 35층 제한이라는 규제는 명시적으로 스카이라인을 일직선으로 만드는 악법중의 악법이고요.

      하지만 별개로 동의하기 어려운 주장도 있습니다. 지금 한강변 아파트의 값이 비싸게 팔리는 것은 한강이라는 자산을 공유하는 세대가 적기 때문입니다. 전망 뿐 아니라 산책할 수 있는 공원도 있고 또 교통이 편리하니까요. 해외 주요도시들도 공원 인근의 주거지는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한강변을 거니는 사람들의 시선에서는 10층 높이나 60층 높이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부의 재분배 측면에서는 10층과 60층은 아주 큰 차이가 있죠. 득실을 따져보면 고층으로 짓는게 낫지 않을까요.

      또 인구가 천만이나 되는 도시에서는 어쩔수 없이 희생해야 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홍콩이나 뉴욕의 도심의 경우 용적률 뿐 아니라 건폐율도 높아서 생기는 문제 아닐까요? 우리나라는 용적률과 건폐율이 모두 낮아 주택가격에 프리미엄이 과도하게 붙으니 건폐율은 규제하고 용적률만 풀어줘서 이 프리미엄을 정상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천해주신 책은 흥미롭네요 지금 주문해서 읽어보겠습니다. 다만 목차와 서평으로 미루어보건대 공익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매우 다를듯 합니다. 서울에 이미 집을 보유한 사람은 집 인근을 오가며 자연을 볼 수 있는 것을 공익이라고 할 것이고 무주택자들은 더 많은 사람들이 서울에 주택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공익이라고 하겠죠. 하지만 자연경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주택을 늘리는 방법은 없습니다. 인간이 줄어드는것 외에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