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5. 21.

문화계에 난입한 홍위병들


    
 
1. 여자의 다리가 트렁크 밖으로 묶인 채 나와있고 한 남자가 트렁크에 손을 얹고 담배를 피우고 있다.
2. 한 흑인 여자가 하얀 테이블 위에 흰 족쇄로 묶여 있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 참고로 사진의 제목은 Bon Appetit.
 
둘 모두 여성에 대한 폭력을 표현한 사진이지만 sns에서의 반응은 전혀 달랐다. 첫번째 사진을 본 사람들은 "성폭력을 표현하다니 개념이 썩었다"는 반응을 보이며 거칠게 비난했고 해당 잡지는 사과와 함께 발행본을 회수하여 폐기해야 했다. 두번째 사진을 찍은 David LaChapelle의 전시는 성황을 이루었고 snser들은 자랑스럽게 해당 전시회를 다녀온 사실을 자랑하기에 바빳다. 이처럼 모순된 대중의 반응은 세가지 무지로부터 나온다.
 
 
첫째, 예술 자체에 대한 인식 부족
 
양들의 침묵은 식인을 권장하는 영화가 아니며 대부는 조직폭력과 청부살인을 홍보하는 영화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데이빗 라샤펠의 작품도 백인들에게 흑인 여성을 맛있게 먹으라고 권유하는 사진이 아니고, 맥심의 사진 작가도 여자를 묶어서 트렁크에 넣도록 부추기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소재만 보고 작가의 표현에 엄격한 도덕적 잣대를 들이댄다면 얼마나 많은 노벨문학상을 취소해야할 것이며 또 얼마나 많은 오르셰 미술관의 소장품을 불살라야 할 것인가. 어린이들이 읽는 동화에도 시체 성추행(백설공주), 살인(장화홍련전), 식인(헨젤과 그레텔), 장애인 비하(혹부리 영감), 동물학대(흥부와 놀부) 등 비 도덕적인 컨텐츠가 가득하니 전부 다 폐기해야 한다. 결국 우리의 작품목록은 초라해지고 예술가들의 캔버스는 빈곤해지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예술은 몰상식한 반달리스트와 끊임없이 싸우며 발전했다. 여성의 음부를 확대하고 동성애를 그린 쿠르베가 그랬고, 벗은 여자들과 피크닉을 즐기는 신사들을 그린 마네가 그랬다. 뒤샹은 사람들이 소변을 보는 변기를 작품으로 출품했고, 데미안 허스트는 더 나아가 자신의 소변을 작품에 활용했다. 그러나 이들은 또라이로 기억되는 대신 예술사에 미술의 지평을 넓힌 화가들로 기록되었고 오늘날에도 많은 작가들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그러나 대중은 이와 같은 노력에 찬 물을 끼얹으며 편집자가 첫번째 사진을 폐기처분하도록 압박을 가했다. 이는 또하나의 반달리즘에 불과하다. 차라리 '진부한 오브제나 클리세를 사용했다'고 비판한다면 모를까.
 
둘째, 메시지에 대한 이해 부족
 
백번 양보해 예술에 대한 대중의 분노가 정당하다고 하자. 그럼 왜 사람들은 맥심 잡지에 던지던 돌을 라샤펠에게 던지지 않는가? 이 작품이 주는 충격을 공감할 수 있게 작품을 좀 변형해 보자. 한 한국인 여성이 나체로 식탁위에 묶여 눈물을 흘리고 있고, 그녀 위에 욱일승천기가 그려져 있다고 상상해보자. 제목은 일어로 "맛있게 드십시오". 만약 이런 작품이 한국에서 공개되었다면 아마 한국인들은 미술관에 돌을 던지고 라샤펠과 협업한 명품 브랜드들의 불매운동을 벌였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도 그러지 않는다. 왜냐하면 작품에 담긴 메시지를 읽지 못했기 때문이다. 작가가 왜 핑크나 아쿠아블루, 혹은 모델의 피부 톤이 아니라 하얀 색을 썼겠는가? 그것도 작가는 이것이 의도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식기까지 모두 흰색으로 칠했다. 이래도 작품의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은 흑백 인종갈등이 있다는 것을 모르는 외계인이거나 맹인이다. 그런데도 대중이 라샤펠의 작품에 분노하지 않는 이유는 그 속에 담긴 메시지를 읽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 읽지 못한 것이 아니라, 않은 것이다. 대부분은 미술관에 셀카를 찍고 블로그 포스팅을 하러가지, 작품을 읽으러 간 것이 아니니까.
 
셋째, 사대주의.
 
앞서 맥심 표지사진에 대한 논란은 영국의 한 코스모폴리탄 에디터로부터 나왔다. 우리나라 대중이, 자기 독자들에게 여자의 오르가즘을 판별하는 기술따위나 알려주는 것이 직업인 사람에게 예술과 표현에 자유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 이유는 그가(혹은 그녀가) 서구 잡지의 에디터이기 때문에 그렇다. 도대체 맥심과 코스모폴리탄이 뭐가 그리 다르길래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도덕적 설교를 늘어놓는가?? 반면 파격적인 라샤펠의 작품에 같은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 이유는 작가가 서구 문화권에서 성공한 예술가이기 때문이다. 만약 라샤펠이 첫번째 사진을 찍고, 맥심 표지에 두번째 사진이 등장했다면 대중의 반응은 180도 달랐을 것이다.(물론 그가 찍었다면 저렇게 촌스럽진 않았으리라) 대중들은 예술을 판별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한다고 믿으면서도, 본인이 이를 판별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권위에 쉽게 의존한다. 그들은 특히나 영어 혹은 불어를 쓰는 금발머리 백인은 그 권위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믿는것 같다. 
 
한국의 경제가 발전하며 대중들의 문화소비도 늘어났다. 사람들은 예술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쓰고 있지만, 이를 이해하는데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대중의 인식과 이해는 300년 전 수준에 머물러 있다. 문제는 문화소비가 늘어나며 대중들이 스스로 예술을 이해할 소양을 갖췄다고 착각하며 작가와 작품에 사회적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무지와 무관심으로 무장한 이들이 갑자기 예술계에 난입하여 도덕적 잣대와 다수의 취향, 정치적 메시지 등의 채점표를 만들어 작품 검열에 나서기 시작했다. 멀게는 조영남의 대작사건에서부터 가깝게는 서울역 고가도로의 설치미술까지, 이 문화계의 홍위병들이 중세의 눈으로 현대를 심판하며 시대에 역행하는 모습을 여러차례 봐 왔다. 문화계 인사들과 예술인들은 늘어나는 작품과 티켓판매 실적, 그리고 sns 팔로워 수를 보며 콧노래를 흥얼거릴 것이 아니라 대중과 각을 세우며 싸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들을 뒤를 따라다녔던 대중은 곧 앞서나가 당신들에게 무엇을 만들고 그리고 쓸지 지시할 것이다. 그들에겐 당신들은 자신의 취향을 맞춰줘야 하는 영화배우나 가수나 다름 없으니까. 그때에 이르면 미술계는 마치 청소년관람가 영화만 남은 밋밋한 영화제처럼 죽어있을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